클래식네거티브
[후지필름 연구소] 후지필름의 Tonality와 Saturation의 의미는 무엇일까?
[후지필름 연구소] 후지필름의 Tonality와 Saturation의 의미는 무엇일까?
2024.03.06후지필름 카메라 사용자라면 위의 차트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후지필름은 각 필름 시뮬레이션의 성격을 Tonality, Saturation 기준으로 그려냈다. 대부분의 후지필름 카메라 사용자들은 이를 필름 시뮬레이션 비교 참고용 정도로 사용한다. 필름 시뮬레이션 차트의 모호함 후지필름이 공식적으로 사용한 필름 시뮬레이션 차트는 모호함이 가득하다. Saturation을 우리가 아는 "채도"라고 읽는다면 좌측으로 갈 수록 채도가 낮고, 우측으로 갈 수록 채도가 높다는 설명이 된다. 이는 실제로도 맞는 표현이다. 색이 선명할수록 채도가 높다고 말하며 회색이나 흰색 또는 검정과 같은 무채색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낮다고 말한다. 대표적으로 벨비아가 높은 채도를 보여주고 클래식 크롬이 낮은 채도를 보여준다..
[후지필름 연구소] 후지필름 필름 시뮬레이션, 클래식 네거티브 이야기와 소소한 사용법. (fujifilm film simulation classic negative story.)
[후지필름 연구소] 후지필름 필름 시뮬레이션, 클래식 네거티브 이야기와 소소한 사용법. (fujifilm film simulation classic negative story.)
2024.02.13결론 클래식 네거티브는 채도가 낮고 대비가 높은 특징을 보인다. 전체적으로 파란색과 초록색, 옅은 마젠타를 띄며 과다 노출을 통해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다. 가장 좋아하는. 그리고 가장 어려운 필름 시뮬레이션 후지필름 카메라 사용자들에게 "가장 좋아하는 필름 시뮬레이션"을 고르라고 한다면, 세 손가락 안에 "클래식 네거티브"의 자리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장 어려운 필름 시뮬레이션"을 고르라고 한다면, 이 안에서도 "클래식 네거티브"는 당당히 높은 순위에 이름을 올릴 것이다. 이번엔 네거티브 유형 필름 시뮬레이션 중에서도 가장 독특한 매력을 품고있는 클래식 네거티브에 대한 이야기와 특징, 그리고 소소한 사용법까지 함께 남겨보고자 한다.X-Trans IV와 함께 등장한 필름 시뮬레이션 클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