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색감
#5 21년 4월에서 시작된 색 (감정 재활용 센터 21.05.19, 23:20)
#5 21년 4월에서 시작된 색 (감정 재활용 센터 21.05.19, 23:20)
2024.02.06(구도, 색감, 보정 없는 원본입니다.) 21년 4월 27일부터 시작된 색 : [우리가 처음 만났던 그때 그 나이로 돌아가는 느낌.] FUJIFILM X-T4 Classic Negative STRONG LARGE GRAIN 컬러크롬 강 컬러크롬 FX 블루 약 DAYLIGHT R:-1 B:-3 DR 400% (ISO 800이상) H-1 S+1 색농도 -1 샤프니스 -1 고감도 노이즈 감소 -2 선명도 -2 노출 +2/3 이상 측광 중앙부 OR 멀티 노출오버를 시키지 않으면 피부톤이 어둡게 표현될 수 있다. 자연광에서 빛이 강할수록 더욱 도드라진다. 반면, 흐린 날에는 촉촉하고 습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흰색계열, 베이지, 아이보리, 블루 계열 옷에서 청량감이 잘 드러난다. 녹색은 노란빛으로, 청색은 청..
[수상한 사진 연구소] 03. 필름 느낌에 대한 고찰 part.1 색감
[수상한 사진 연구소] 03. 필름 느낌에 대한 고찰 part.1 색감
2022.11.27'감성' 왜 필름느낌을 좋아하냐고 물어본다면 '특유의 감성이 좋아서'라고 대답한다 이 특유의 감성엔 필름의 색감, 질감, 표현력 등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 '특유의 감성'은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어떻게 디지털로 구현할 수 있을지 생각해봤다. ※ 주의 : 수상한 사진 연구소는 검수과정을 충분히 거치지 않은 연구소장 생각이 대부분입니다. 우선 필름 느낌을 앞서 말한 세 가지로 분류해보자. 1. 특유의 색감 : 필름 고유 색감, 렌즈 선예도, 렌즈의 색, 스캐너 차이, 보정 2. 특유의 질감 : 입자감 3. 특유의 표현력 : 고정된 색온도, 노출 관용도, 색 표현 방식 1. 특유의 색감 [필름 고유의 색감] '필름 특유의 색감'이란 필름 고유의 색감, 렌즈의 선예도와 색, 스캐너 차이, 보정법..
#e6cfbf
#e6cfbf
2021.05.20
#4b7fa6
#4b7fa6
2021.05.19
#954a22
#954a22
2021.05.19
#798281